[네트워크] 통신 방법의 이해 : 서킷 스위칭, 패킷 스위칭

효율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방법들
HootJem's avatar
Aug 19, 2024
[네트워크] 통신 방법의 이해 : 서킷 스위칭, 패킷 스위칭
 

1. 서킷 스위칭

notion image
만약 C, D 등 다른애들이랑 더 연결되고 싶으면 선이 더 필요함.
이처럼 단독으로 한 경로를 고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서킷 스위칭이라고 한다.
이 방식의 장점은 고정된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매우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. 하지만, 구축 비용이 높고, 경로가 고정되어 있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.

2. 라운드 로빈

notion image
라운드 로빈 방식은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자원을 순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링 기법이다.
이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처리하는데, 이때 데이터를 얼마만큼의 크기로 나눌지를 결정하는 것이 시분할.
예를 들어, 1비트씩 나누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.

3. 패킷 스위칭

notion image
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은 패킷 스위칭이라고 한다.
여기서 각 네모 하나가 '패킷'을 의미한다.
각 패킷에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'헤더'가 있어, 네트워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전송된다.
C 번 데이터의 경우 [1] [2] [3] 이라고 할때 A 까지 [1] [3] 만 도착하면 → [2] 를 요청하거나
A에 [3] [1] [2] 로 도착했을 때 재 정렬을 할 수 있게 된다.
  • 라우터
    • 가운데의 빈 동그라미는 라우터 를 나타낸다.
    • 라우터는 각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어, 해당 패킷을 올바른 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.
    • 이를 통해 패킷은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.
  • 패킷구성
    • 바디(body) : 데이터를 실제로 담고 있다.
    • 헤더(header) : 데이터를 어디로 보내야 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있다.
notion image

Share article

[HootJem] 개발 기록 블로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