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자바 스크립트 자료형
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이핑(dynamic typing)을 지원하므로 변수에 할당되는 값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이 결정됩니다. 따라서, 변수를 선언할 때 데이터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습니다.
1.1 자료형
자바 스크립트에서 사용되는 주료 자료형을 알아보겠습니다.
- 숫자(Number)
- 정수와 실수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.
let n1 = 1;
let n2 = 1.5;
console.log("정수", n1); //1
console.log("실수", n2); //1.5
- 문자열(String)
- 문자열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let n3 = "자바스크립트 자료형 강좌";
console.log("문자열", n3) // 문자열 자바스크립트 자료형 강좌
- 불리언(Boolean)
- true와 false 두 가지 값 중 하나를 가집니다.
let n4 = true;
console.log("불리언", n4); // 불리언 true
- null
- 값이 없음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
let n5 = null;
console.log("널", n5); // 널 null
- undefined
- 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
let n6 = undefined;
let n7;
console.log("언디파인", n6); // 언디파인 undefined
console.log("언디파인", n7) // 언디파인 undefined
- 객체(Object)
-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.
let user = {
id: 1,
username: "ssar",
password: "1234"
};
console.log("객체", user);
console.log("객체", user.id); //1
console.log("객체", user.username); //ssar
console.log("객체", user.password); //1234

- 배열(Array)
-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let arr = [1,2,3];
console.log("배열", arr);
console.log("배열", arr[0]);
console.log("배열", arr[1]);
console.log("배열", arr[2]);

- 함수(Function)
-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입니다.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도 하나의 자료형으로 취급됩니다.
function fun1() {
console.log("fun1 함수"); //함수
}
fun1();
let fun2 = function () {
console.log("fun2 함수"); //익명함수
};
fun2();
let f1 = () => 1; //람다 표현식
let f2 = () => { console.log(1); }; //람다식
1.2 JSON과 자바스크립트 객체
자바스크립트 객체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를 구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입니다. 객체는 중괄호
{}
를 사용하여 키-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
JSON은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, 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됩니다.let user = {
id: 1,
username: "ssar",
password: "1234"
};
//자바스크립트 오브젝트 타입
let jsonUser = JSON.stringify(user);
console.log("객체->json", jsonUser);
let user = {
"id": 1,
"username": "ssar",
"password": "1234"
};
//자바스크립트 JSON
let userObj = JSON.parse(jsonString);
console.log("제이슨->객체", userObj)
- 자바스크립트 객체 → JSON :
JSON.stringify()
- JSON → 자바스크립트 객체 →
JSON.parse()
간단하게 변환하는 메소드를 지원한다.

2. 자바스크립트 함수와 표현식
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를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.
함수도 객체의 일종이기 때문에 변수에 할당하거나,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거나,
함수에서 반환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일급 객체(first-class object)라고 합니다.
//기본 함수 - 함수의 이름을 명시하여 선언
function fun1() {
console.log("fun1 함수");
}
fun1();
//익명 함수 -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 가능
let fun2 = function () {
console.log("fun2 함수");
};
fun2();
//람다 표현식 - 리턴값을 간단히 표현
let f1 = () => 1;
//람다식
let f2 = () => { console.log(1); };
Share article